728x90

데이터 2

데이터 분석 - GA 이벤트 정의

GA나 GTM 사용방법을 업로드하기에 앞서서 어떤 데이터를 확인하기 위해 GA를 세팅하는지를 분명히 하는 일이 우선시돼야 할 거 같아서 이 이야기를 먼저 다뤄보고자 한다. 우선 내가 서비스기획자로써 GA를 세팅하게 된 이유는 오로지 유저의 행동 흐름을 파악하기 위해서이다. 거래 건 수나 거래 비용, AUM, 회원가입자 수 같은 사업적인 부분을 확인하기 위함이 아닌 것이다. 그래서 사업적인 부분을 확인하기 위해 GA를 세팅하실 분들에게는 내 글이 크게 도움이 되지 않을 수 있다는 말씀을 미리 전한다. 먼저 유저 행동 흐름을 파악하고자 한다면 가장 유의미한 유저의 행동이 무엇인지를 고려해야 한다. 어떤 페이지에서 어떤 행동을 하는 것이 앱 사용에 있어서 가장 의미 있는가?를 정하고 이를 전환 이벤트로 정의해..

기획 아카이브 2023.12.28

서비스 기획자의 데이터 분석

프로젝트 QA가 전반적으로 끝나고 또 여유가 생겼다. 가만히 있지를 못 하는 사람이기 때문에 이번에는 '데이터 분석 공부를 시작해 볼까' 하는 중이다. 한 달 전쯤 GA 공부가 하고 싶어서 개발 팀장님께 앱에 GA 태그 관리자를 설치해 달라고 요청드린 적이 있었다. 프로젝트 오픈 전이라 워낙 바쁘셨어서 운영 서버가 아닌 개발 서버 메인 URL에만 설치해 달라고 요청드렸고 이후로 프로젝트 QA 때문에 워낙 바빴어서 아예 잊고 지냈다. 실 운영 시에는 메인 URL 뿐만 아닌 모든 페이지에 설치해야 한다. 설치라고 해서 거창하게 들리겠지만 그런 건 아니고 개발 소스에 GA 소스를 붙여 넣기만 하면 된다. 웹앱이나 웹페이지의 경우 그냥 HTML head 영역에 넣으면 된다. 그러다가 며칠 전 한가해져서 애널리틱..

기획 아카이브 2023.12.20
728x9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