728x90

문서 3

서비스 기획자의 피그마 문서 폼 공유

피그마 초보자 분들이나 서비스기획 신입 분들에게 실직적으로 도움이 될만한 게 뭐가 있을까...? 생각을 해보니 쉽게 사용할 수 있는 문서 폼 만한 게 없을 거 같다는 생각이 들어서 제가 실무에 실제로 사용하고 있는 폼을 공유해 볼까 합니다. (해당 폼은 현 회사에서 재직 중 제작한 것이 아니며, 제가 손수 제작하여 사용하고 있는 폼이기에 회사의 자산을 공유하는 것이 아님을 명시합니다.) 화면설계서 각 잡고 제대로 된 화면설계서를 작성할 때 사용하는 폼입니다. 명확하게 확인되어야 될 요소가 많다 보니 작성 항목도 많은 편입니다. Screen ID : 화면의 아이디 Screen Title : 화면의 제목 Screen depth : 화면의 단계 (ex. 3) Screen path : 화면 단계 상세 (ex. ..

기획 아카이브 2023.09.25

서비스 기획자의 피그마 #2

1편에 이어 2편을 작성하려고 한다. 이제 피그마의 플러그인이나 다른 세부 기능을 전달하는 것이 나을 것 같아서 해당 시리즈는 2편까지만 작성하게 될 것 같다. 매일 실무에 사용되는 디스크립션과 정책만 작성하다가 자유롭고 새로운 폼의 글을 작성하려니 빨리 작성하고 싶어서 손이 근질근질한 기분이다! 4. 문서 관리가 용이하다. 피그마 유료 버전을 사용하게 되면 문서 관리가 굉장히 편리하다. 팀 > 프로젝트 > 파일 > 페이지 > 레이어 단계로 문서를 관리할 수 있기 때문에 큰 덩어리 별로 세분화하여 관리할 수 있고, 원하는 문서를 찾기도 쉽다. 페이지"}"> 예를 들면 나는 [땡땡 3.0] 이라는 버전 이름으로 큰 덩어리의 프로젝트로 만들고 [땡땡 3.0] 프로젝트 안에 [땡땡 3.1] 이라는 더욱 세분화..

기획 아카이브 2023.08.31

서비스 기획자의 피그마 #1

모두 아시다시피 서비스를 기획하면서 작성해야 할 문서는 말도 못하게 다양하며 작성에 사용할 수 있는 툴 또한 다양하다. 다양한 문서와 작성 툴이 있겠지만 오늘 내가 다루고자 하는 주제는 피그마 (Figma)이다. 실무자 분들 중에서 피그마를 들어본 분들도 있겠지만 들어보지 못 한 분들도 있을 것이다. 아무리 피그마가 IT업계의 떠오르는 대세라고 할지라도 화면설계서 하면 MS office의 PPT를 떠올리는 분들이 더 많을 것이라고 예상된다. 당연하다. 워낙에 오래전부터 쓰여왔고 계속 사용하기에도 무리가 없는 툴이기 때문이다. 아마 지금도 피그마가 아닌 PPT를 사용하고 계신 실무자 분들이 더 많을 수도 있으리라 생각된다. 실제로 얼마 전에 이직한 친구에게 한 달 전까지 PPT로 문서를 작성했다는 말을 듣..

기획 아카이브 2023.08.30
728x9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