728x90

기획 아카이브 12

서비스기획 프로세스 AtoZ - 프론트

오랜만에 서비스기획 실무 관련 글을 작성한다.보통 서비스기획 직무로 회사에 취업을 하더라도완전히 새로운 서비스를 A부터 Z까지 기획하게 되는 경우는 잘 없다. 이미 운영되고 있는 서비스를 고도화해 나가거나이미 어느 정도 틀이 잡히고 기획이 진행된 프로젝트에 합류하게 되는 경우가 일반적이다. 그런 관계로 나도 완전히 제로 베이스 상태에서A부터 Z까지 서비스를 설계해 본 경험은 없었는데 이번 회사에서 처음으로 경험하고 있다.  서비스기획 관련 글은 차고 넘치지만 뭔가 실무에 밀접하게프로세스를 얘기해 주는 글은 많지 않은 느낌이라서 현재 내가 경험하고 있는 서비스기획의 프로세스 AtoZ를 공유하고자 한다. 모든 업무가 그렇겠지만 it 기획 업무 또한 실무자마다 지향하는 스타일은 모두 다르니나의 케이스는 참고용..

기획 아카이브 2024.08.29

데이터 분석 - 퍼널로 유저 행동 분석

요새 뭔가 정신이 없어서 오랜만에 글을 쓰는 거 같다... 오늘은 GA 퍼널분석으로 유저 행동을 분석하는 방법을 다뤄보려고 한다. 전편에도 말했고 계속 반복해서 말하고 있지만 어디서 배운 게 아니라 독학한 방법이기 때문에 정답이 아닐 수 있음을 다시 한번 명시한다. 우선 GA계정을 만들었고 코드에 GA 코드를 심었다는 걸 전제로 얘기하겠다. (참고로 GA와 GTM 둘 다 사용하신다면 GA 코드는 제거하고 GTM 코드만 심으시면 된다. GA와 GTM 코드 둘 다 심으면 중복 집계될 수 있으니 유의하자) 퍼널 분석을 위해서는 다양한 보고서를 만들 수 있는 [탐색] 탭으로 진입해야 한다. 좌측의 [탐색] 탭을 클릭! 다양한 탬플릿이 있는데 우리는 여기서 [유입경로 탐색 분석]을 사용할 거다. 두 번째 [유입경..

기획 아카이브 2024.02.13

데이터 분석 - GA 이벤트 정의

GA나 GTM 사용방법을 업로드하기에 앞서서 어떤 데이터를 확인하기 위해 GA를 세팅하는지를 분명히 하는 일이 우선시돼야 할 거 같아서 이 이야기를 먼저 다뤄보고자 한다. 우선 내가 서비스기획자로써 GA를 세팅하게 된 이유는 오로지 유저의 행동 흐름을 파악하기 위해서이다. 거래 건 수나 거래 비용, AUM, 회원가입자 수 같은 사업적인 부분을 확인하기 위함이 아닌 것이다. 그래서 사업적인 부분을 확인하기 위해 GA를 세팅하실 분들에게는 내 글이 크게 도움이 되지 않을 수 있다는 말씀을 미리 전한다. 먼저 유저 행동 흐름을 파악하고자 한다면 가장 유의미한 유저의 행동이 무엇인지를 고려해야 한다. 어떤 페이지에서 어떤 행동을 하는 것이 앱 사용에 있어서 가장 의미 있는가?를 정하고 이를 전환 이벤트로 정의해..

기획 아카이브 2023.12.28

서비스 기획자의 데이터 분석

프로젝트 QA가 전반적으로 끝나고 또 여유가 생겼다. 가만히 있지를 못 하는 사람이기 때문에 이번에는 '데이터 분석 공부를 시작해 볼까' 하는 중이다. 한 달 전쯤 GA 공부가 하고 싶어서 개발 팀장님께 앱에 GA 태그 관리자를 설치해 달라고 요청드린 적이 있었다. 프로젝트 오픈 전이라 워낙 바쁘셨어서 운영 서버가 아닌 개발 서버 메인 URL에만 설치해 달라고 요청드렸고 이후로 프로젝트 QA 때문에 워낙 바빴어서 아예 잊고 지냈다. 실 운영 시에는 메인 URL 뿐만 아닌 모든 페이지에 설치해야 한다. 설치라고 해서 거창하게 들리겠지만 그런 건 아니고 개발 소스에 GA 소스를 붙여 넣기만 하면 된다. 웹앱이나 웹페이지의 경우 그냥 HTML head 영역에 넣으면 된다. 그러다가 며칠 전 한가해져서 애널리틱..

기획 아카이브 2023.12.20

서비스 기획자의 피그마 #3

플러그인이나 기능에 대한 피그마 글은 내가 굳이 작성하지 않더라도 조금만 구글링 해보면 쉽게 찾아볼 수 있다. 기획 실무 관점에서의 피그마의 활용도에 대해 다뤄보면 좋을 거 같아서 글을 시작해 본다. 1. 버전 관리 PPT에서도 이전 버전을 확인하는 것이 가능하지만 Figma에서도 가능하다. 좌측 상단 피그마 아이콘 > File > Show version history 탭을 클릭하면 버전 관리 페이지로 진입한다. 페이지 우측에서 업데이트된 버전에 대한 히스토리를 모두 확인 가능하다. 특정 버전을 클릭하면 해당 버전의 페이지를 확인 가능하다. 추가로 아래 기능을 사용 가능하다. Name this version : 지난 버전에 타이틀과 업데이트 사항 업로드 Restore this version : 지난 버전..

기획 아카이브 2023.10.31

서비스 기획자의 피그마 문서 폼 공유

피그마 초보자 분들이나 서비스기획 신입 분들에게 실직적으로 도움이 될만한 게 뭐가 있을까...? 생각을 해보니 쉽게 사용할 수 있는 문서 폼 만한 게 없을 거 같다는 생각이 들어서 제가 실무에 실제로 사용하고 있는 폼을 공유해 볼까 합니다. (해당 폼은 현 회사에서 재직 중 제작한 것이 아니며, 제가 손수 제작하여 사용하고 있는 폼이기에 회사의 자산을 공유하는 것이 아님을 명시합니다.) 화면설계서 각 잡고 제대로 된 화면설계서를 작성할 때 사용하는 폼입니다. 명확하게 확인되어야 될 요소가 많다 보니 작성 항목도 많은 편입니다. Screen ID : 화면의 아이디 Screen Title : 화면의 제목 Screen depth : 화면의 단계 (ex. 3) Screen path : 화면 단계 상세 (ex. ..

기획 아카이브 2023.09.25

개인정보보호법 개정 "휴면계정이 사라졌다."

개인정보보호법이 지난 3월 14일에 개정 공표되었고 6개월이 지난 9월 15일부터 시행되었다. 이것저것 바뀐 조항이 많긴 하겠지만 내가 지금 주목해서 보고 있는 부분은 제39조의6(개인정보의 파기에 대한 특례) 조항의 삭제이다. 제39조의6(개인정보의 파기에 대한 특례) ① 정보통신서비스 제공자 등은 정보통신서비스를 1년의 기간 동안 이용하지 아니하는 이용자의 개인정보를 보호하기 위하여 대통령령으로 정하는 바에 따라 개인정보의 파기 등 필요한 조치를 취하여야 한다. 다만, 그 기간에 대하여 다른 법령 또는 이용자의 요청에 따라 달리 정한 경우에는 그에 따른다. ② 정보통신서비스 제공자 등은 제1항의 기간 만료 30일 전까지 개인정보가 파기되는 사실, 기간 만료일 및 파기되는 개인정보의 항목 등 대통령령으..

기획 아카이브 2023.09.19

서비스 기획자의 피그마 꿀팁

이 글은 피그마를 접한 지 얼마 되지 않은 피그마꿈나무 분들을 위한 글이다. 나는 디자이너 시절에 adobe illustrator, photoshop 툴을 메인으로 사용했었고 피그마 툴의 형태가 adobe와 크게 다르지 않아서 빠르게 배울 수 있었다. 허나, 대부분의 IT종사자들은 디자인 툴을 다뤄본 적이 없을 테니 피그마 툴을 익히는 게 쉽지 않았을 거 같다는 생각이 문득 들었다. 그런 이들을 위해 나도 헤맸던 쉽지만 누가 알려주지 않았던 사용법과 알면 기획 능률이 올라가는 꿀팁 몇 가지를 소개해볼까 한다. 누가 알려주지 않는 사용법 정말 단순한 사용법이기에 검색해도 잘 안 나오고 누구한테 물어보기도 민망한 그런 소소한 공유... 1. 배경색이 너무 밝아서 조금 어둡게 하고 싶다면? 아무것도 클릭하지 ..

기획 아카이브 2023.09.13

서비스 기획자의 피그마 플러그인

지난 서비스 기획자의 피그마#2 에서 언급했던 플러그인에 관한 글을 써볼까 한다. 피그마에는 UI 디자인에 유용한 플러그인도 많지만 나는 화면설계서 작성에 유용한 플러그인만 공유해보려 한다. 플러그인 소개에 앞서서 피그마 사용에 서툰 이들을 위해 플러그인 다운로드 방법을 안내해보겠다. 플러그인을 다운로드 방법은 2가지가 있다. 첫 번째로 Community에 들어가서 검색하는 방법이 있다. 피그마 메인페이지 좌측 하단의[Explore Community]를 클릭하거나 좌측 상단의 지구본 모양 아이콘을 클릭하면 Community 페이지에 진입할 수 있다. 상단의 [Search everything in Community] 인풋박스에 플러그인을 검색하면 된다. 두 번째는 파일 내에서 검색하는 방법도 있다. 보통 ..

기획 아카이브 2023.09.04

서비스 기획자의 피그마 #2

1편에 이어 2편을 작성하려고 한다. 이제 피그마의 플러그인이나 다른 세부 기능을 전달하는 것이 나을 것 같아서 해당 시리즈는 2편까지만 작성하게 될 것 같다. 매일 실무에 사용되는 디스크립션과 정책만 작성하다가 자유롭고 새로운 폼의 글을 작성하려니 빨리 작성하고 싶어서 손이 근질근질한 기분이다! 4. 문서 관리가 용이하다. 피그마 유료 버전을 사용하게 되면 문서 관리가 굉장히 편리하다. 팀 > 프로젝트 > 파일 > 페이지 > 레이어 단계로 문서를 관리할 수 있기 때문에 큰 덩어리 별로 세분화하여 관리할 수 있고, 원하는 문서를 찾기도 쉽다. 페이지"}"> 예를 들면 나는 [땡땡 3.0] 이라는 버전 이름으로 큰 덩어리의 프로젝트로 만들고 [땡땡 3.0] 프로젝트 안에 [땡땡 3.1] 이라는 더욱 세분화..

기획 아카이브 2023.08.31
728x9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