728x90

figma 5

서비스 기획자의 피그마 #3

플러그인이나 기능에 대한 피그마 글은 내가 굳이 작성하지 않더라도 조금만 구글링 해보면 쉽게 찾아볼 수 있다. 기획 실무 관점에서의 피그마의 활용도에 대해 다뤄보면 좋을 거 같아서 글을 시작해 본다. 1. 버전 관리 PPT에서도 이전 버전을 확인하는 것이 가능하지만 Figma에서도 가능하다. 좌측 상단 피그마 아이콘 > File > Show version history 탭을 클릭하면 버전 관리 페이지로 진입한다. 페이지 우측에서 업데이트된 버전에 대한 히스토리를 모두 확인 가능하다. 특정 버전을 클릭하면 해당 버전의 페이지를 확인 가능하다. 추가로 아래 기능을 사용 가능하다. Name this version : 지난 버전에 타이틀과 업데이트 사항 업로드 Restore this version : 지난 버전..

기획 아카이브 2023.10.31

서비스 기획자의 피그마 문서 폼 공유

피그마 초보자 분들이나 서비스기획 신입 분들에게 실직적으로 도움이 될만한 게 뭐가 있을까...? 생각을 해보니 쉽게 사용할 수 있는 문서 폼 만한 게 없을 거 같다는 생각이 들어서 제가 실무에 실제로 사용하고 있는 폼을 공유해 볼까 합니다. (해당 폼은 현 회사에서 재직 중 제작한 것이 아니며, 제가 손수 제작하여 사용하고 있는 폼이기에 회사의 자산을 공유하는 것이 아님을 명시합니다.) 화면설계서 각 잡고 제대로 된 화면설계서를 작성할 때 사용하는 폼입니다. 명확하게 확인되어야 될 요소가 많다 보니 작성 항목도 많은 편입니다. Screen ID : 화면의 아이디 Screen Title : 화면의 제목 Screen depth : 화면의 단계 (ex. 3) Screen path : 화면 단계 상세 (ex. ..

기획 아카이브 2023.09.25

서비스 기획자의 피그마 꿀팁

이 글은 피그마를 접한 지 얼마 되지 않은 피그마꿈나무 분들을 위한 글이다. 나는 디자이너 시절에 adobe illustrator, photoshop 툴을 메인으로 사용했었고 피그마 툴의 형태가 adobe와 크게 다르지 않아서 빠르게 배울 수 있었다. 허나, 대부분의 IT종사자들은 디자인 툴을 다뤄본 적이 없을 테니 피그마 툴을 익히는 게 쉽지 않았을 거 같다는 생각이 문득 들었다. 그런 이들을 위해 나도 헤맸던 쉽지만 누가 알려주지 않았던 사용법과 알면 기획 능률이 올라가는 꿀팁 몇 가지를 소개해볼까 한다. 누가 알려주지 않는 사용법 정말 단순한 사용법이기에 검색해도 잘 안 나오고 누구한테 물어보기도 민망한 그런 소소한 공유... 1. 배경색이 너무 밝아서 조금 어둡게 하고 싶다면? 아무것도 클릭하지 ..

기획 아카이브 2023.09.13

서비스 기획자의 피그마 플러그인

지난 서비스 기획자의 피그마#2 에서 언급했던 플러그인에 관한 글을 써볼까 한다. 피그마에는 UI 디자인에 유용한 플러그인도 많지만 나는 화면설계서 작성에 유용한 플러그인만 공유해보려 한다. 플러그인 소개에 앞서서 피그마 사용에 서툰 이들을 위해 플러그인 다운로드 방법을 안내해보겠다. 플러그인을 다운로드 방법은 2가지가 있다. 첫 번째로 Community에 들어가서 검색하는 방법이 있다. 피그마 메인페이지 좌측 하단의[Explore Community]를 클릭하거나 좌측 상단의 지구본 모양 아이콘을 클릭하면 Community 페이지에 진입할 수 있다. 상단의 [Search everything in Community] 인풋박스에 플러그인을 검색하면 된다. 두 번째는 파일 내에서 검색하는 방법도 있다. 보통 ..

기획 아카이브 2023.09.04

서비스 기획자의 피그마 #2

1편에 이어 2편을 작성하려고 한다. 이제 피그마의 플러그인이나 다른 세부 기능을 전달하는 것이 나을 것 같아서 해당 시리즈는 2편까지만 작성하게 될 것 같다. 매일 실무에 사용되는 디스크립션과 정책만 작성하다가 자유롭고 새로운 폼의 글을 작성하려니 빨리 작성하고 싶어서 손이 근질근질한 기분이다! 4. 문서 관리가 용이하다. 피그마 유료 버전을 사용하게 되면 문서 관리가 굉장히 편리하다. 팀 > 프로젝트 > 파일 > 페이지 > 레이어 단계로 문서를 관리할 수 있기 때문에 큰 덩어리 별로 세분화하여 관리할 수 있고, 원하는 문서를 찾기도 쉽다. 페이지"}"> 예를 들면 나는 [땡땡 3.0] 이라는 버전 이름으로 큰 덩어리의 프로젝트로 만들고 [땡땡 3.0] 프로젝트 안에 [땡땡 3.1] 이라는 더욱 세분화..

기획 아카이브 2023.08.31
728x90